마태복음 15장 29~39절 말씀 묵상 “ 어때, 나랑 깐부 할래? ”
내가 무리를 불쌍히 여기노라
1. 오늘 묵상 말씀
마태복음 15:29~39
29 예수께서 거기서 떠나사 갈릴리 호숫가에 이르러 산에 올라가 거기 앉으시니
30 큰 무리가 다리 저는 사람과 장애인과 맹인과 말 못하는 사람과 기타 여럿을 데리고 와서 예수의 발 앞에 앉히매 고쳐 주시니
31 말 못하는 사람이 말하고 장애인이 온전하게 되고 다리 저는 사람이 걸으며 맹인이 보는 것을 무리가 보고 놀랍게 여겨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니라
32 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 이르시되 내가 무리를 불쌍히 여기노라 그들이 나와 함께 있은 지 이미 사흘 이매 먹을 것이 없도다 길에서 기진할까 하여 굶겨 보내지 못하겠노라
33 제자들이 이르되 광야에 있어 우리가 어디서 이런 무리가 배부를 만큼 떡을 얻으리이까
34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에게 떡이 몇 개나 있느냐 이르되 일곱 개와 작은 생선 두어 마리가 있나이다 하거늘
35 예수께서 무리에게 명하사 땅에 앉게 하시고
36 떡 일곱 개와 그 생선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니 제자들이 무리에게 주매
37 다 배불리 먹고 남은 조각을 일곱 광주리에 차게 거두었으며
38 먹은 자는 여자와 어린이 외에 사천 명이었더라
39 예수께서 무리를 흩어 보내시고 배에 오르사 마가단 지경으로 가시니라
2. 내용 요약과 묵상
갈릴리 호숫가에서 많은 병자를 고쳐주시는 예수님을 보고 무리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예수님은 떡 일곱 개와 생선 두어 마리를 가지고 축사하시고 무리에게 주십니다. 여자와 어린이 외에 사천 명이 먹고도 남는 기적이 일어납니다.
1) 타락한 세상과 믿음의 전염성
타락한 세상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이 죄와 비참함에 빠져 도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두로와 시돈을 떠나 갈릴리 호수로 왔을 때 그 먼 길을 각색 병자들과 일행이 따라왔습니다. 여자와 어린이를 빼고 4000명이나 됐습니다.
믿음은 이렇게 전염성이 큽니다. 한 가나안 여인으로 시작된 믿음은 허다한 무리에게 큰 도전과 감동을 줬고 주님을 따르게 했습니다.
예수님은 아픈 사람들을 긍휼히 여기시고 차별 없이 고쳐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사랑이 충만하신 분입니다. 소외된 사람들과 어려운 사람들을 외면하지 않으십니다. 인종과 신분을 막론하고 예수님께 나아오면 치유와 회복과 기쁨을 얻습니다.
복음서를 보면 많은 사건이 반복되어 등장하는데 5000명을 먹이신 사건과 4000명을 먹이신 사건을 동일하게 보는 학자들도 있으나 좀 더 살펴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병이어 사건의 대상은 이스라엘 사람들이었고 칠병이어 사건의 대상은 이방인입니다.
칠병이어 사건은 갈릴리 밖에서 이방인에게 전도하시는 내용과 함께 묶여 있습니다. 이 무리는 예수님이 데가볼리 근처의 산기슭에서 3일 동안 가르침과 치유 사역을 베푸실 때 함께 있던 사람들이며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이방인들입니다. 두 사건은 각각 다른 사건입니다.
2) 예수, 세리와 죄인의 친구
예수님은 당시 유대 사회에서 가장 천대받고 업신여김을 받던 세리와 죄인들과 더불어 종종 식사를 하셨습니다. 그들의 집에 초대되어, 더불어 식탁에 기대어 앉아 잔치 음식을 잡수셨습니다. 그래서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이요, 세리와 죄인의 친구라는 별명을 얻으셨습니다.
이런 예수님의 행동은 하나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죄인들에게까지도 하나님의 종말론적 구원과 용서와 화해와 상실한 인간 권리의 회복을 의미합니다.
예수님과의 식탁 교제는 하나님 앞에서의 교제입니다. 식탁에 참여한 사람들이 한 덩어리의 떡을 나눠 먹는 것은 그들 모두가 주인의 축복을 함께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깐부라는 최근 유행하는 말이 있습니다.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입니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하는데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언이라는 설, 소규모 재즈 밴드를 뜻하는 캄보(combo)가 주한미군을 통해 전해졌다는 설,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을 뜻하는 고사성어 관포지교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치킨 브랜드명으로도 쓰이고 있으며 ‘오징어 게임’을 통해 화제의 용어로 떠올랐습니다.

주님은 우리와 깐부가 되길 원하십니다. 오징어 게임에서 가장 약자로 보인 게임 참가자였던 오일남 할아버지는 알고 보니 그 게임을 창시한 갑부였습니다.
생명의 위기에 아프고 고독한 병든 노인을 극진히 섬기고 돌본 주인공에게 “너 나랑 깜 부할래?” 라며 환하게 웃는 장면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우리는 문제가 생기면 친구와 의논할 수가 있고, 부모님과 의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좋은 방법은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 들고나가는 것입니다.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신앙생활하다 보면 진짜 말도 안 되는 경우가 많으나 예수님께 가져가면 말도 안 되는 것이 말이 됩니다. 세상적 상식으로는 정말 말이 안 되지만 살아 움직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고 믿고 나아가면 실재적으로 말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하나님이 이루실 것을 확실히 믿고 가면 주님이 축사하시는 순간, 엄청난 은혜와 축복으로 임하실 것이 약속이 되어 있습니다.
3) 예수님과의 식탁 교제
예수님은 영적인 은혜는 받았지만 배가 고파 육체가 연약한 자들을 긍휼히 여기셨습니다. 광야에서 먹일 음식을 구하기 불가능했지만 포기하지 않으시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어떤 공식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기적을 베푸실 때도 기계적으로 행하지 않으시고 창의적으로 접근하십니다.
전에는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남자만 5000명을 먹이고 열 두 광주리를 남겼지만 이번엔 보리떡 일곱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남자만 4000명을 먹이고 일곱 광주리를 남게 하셨습니다.
지난번보다 많은 양을 가지고 적은 숫자를 먹였는데 왜 더 적게 남겼냐고 비교해서는 안됩니다. 은혜는 날마다 새롭게 주어집니다. 어제의 은혜로 오늘을 살 수 없습니다.
예수님은 그분에게 나아오는 자를 결코 주리지 않게 하시고 넘치도록 채우시는 분입니다. 말씀의 능력을 믿고 성령이 인도를 따를 때 풍성한 삶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 주님의 능력으로 살아가기를 원하십니다.
주님이 내 안에 내가 주님 안에 거하기를 항상 사모하시길 바랍니다. 주님의 마음을 공유하고 주님의 능력을 공유하고 주님과 가장 친한 동반자가 되어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해 최선을 다하시기를 축원드립니다.
3. 기도
가난하고 연약한 자들을 향하신 예수님의 긍휼 한 마음을 품고 사람들을 대하기를 소망합니다. 주님의 선한 동역자가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기도 제목
예수님의 긍휼을 품고 살아가도록!
4. 3줄 요약
1) 예수님의 선교는 사람을 긍휼히 여기시는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2) 전도자는 예수님의 마음을 지녀야 합니다.
3) 예수님의 식탁 교제는 하나님의 구원이 모두에게 이르렀음을 의미합니다
'Phos의 설교.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태복음 22장 1~14절 말씀 묵상 “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 (2) | 2022.10.14 |
---|---|
마태복음 5장 33~48절 “ 원수를 사랑하라뇨.. ” (4) | 2022.10.07 |
출애굽기 37장 17~29절 “ VVS ” (1) | 2022.10.02 |
사무엘상 18장 17~30절 묵상 “ 차도살인지계(借刀殺人之計) ” (2) | 2022.09.30 |
출애굽기 21장 28~36절 묵상 “ 우리 개는 안 물어요. 주인이 벌금 물어요 ” (2) | 2022.09.29 |